반응형

network 15

IP

IP(Internet Protocol)는 네트워크 계층(인터넷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IP는 단말기에서 단말기까 지 어떻게 가야 하는지 그에 대한 주소를 처리하고 IP 주소 분배와 패킷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IP 주소 체계는 IPv4, IPv6 방식이 있는데, IPv4는 IP 주소를 32비트로 표현하고 ‘.(온점)’으로 구분 하여 0.0.0.0 ~ 255.255.255.255까지 약 42억 개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인터넷에 연결 되는 단말기 수가 급격하게 늘어나는 상황에서 IPv4의 주소가 부족해지자 IPv6가 나타났다. IPv6는 주소 길이가 128비트로 늘어나면서 수많은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아직까지 IPv4가 대중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므로 IPv4를 기준으로 설..

TCP(3-Way Handshaking & 4-Way Handshaking)

TCP/IP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IP는 구별해서 이야기할 수 있다. TCP에서는 신뢰성 보장과 흐름 제어(Flow Control)를 하며 여기에서 ‘3-Way Handshaking’이라는 과정을 거쳐 연결된다. 혼잡 제어(Congestion Control)로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어 한정된 네트워크 대역폭에서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도록 해 준다 ​ TCP 3-Way Handshaking TCP 프로토콜은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연결 전에 3번의 확인 절차를 거치는데, 이 절차를 ‘3- Way Handshaking’이라고 한다. (TCP를 사용한 데이터 송수신 간의 정..

OSI 7 계층

네트워크를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OSI 7 계층을 들어 보게 된다. OSI 7 계층은 1984년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 연결 방식에 대한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에서 통신하는 방법을 7단계로 나눈 것이다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 ​참고문헌 정상근(맥스),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구축과 보안 관제』, 한빛미디어, 2016, 37쪽

네트워크망(LAN, MAN, WAN)

네트워크망은 규모와 거리에 따라 크게 LAN, MAN, WAN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더 세부적으로 는 10m 이내에 네트워크로 구성된 개인 통신망인 PANPersonal Area Network으로 IrDA, Bluetooth 등 의 무선 기술들이 있으며, 200m 내의 무선 네트워크인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이 있다. LAN LAN(Local Area Network)은 작은 범위의 네트워크망으로, Ethernet, Token Ring, FDDI 형태로 구축할 수 있다. Star 구성은 중앙에서 Point-to-Point 방식으로 연결된다. 문제가 발생하면 해결하기 쉬운 구성 이지만, 구성 비용이 많이 들고 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