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Internet Protocol)는 네트워크 계층(인터넷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IP는 단말기에서 단말기까 지 어떻게 가야 하는지 그에 대한 주소를 처리하고 IP 주소 분배와 패킷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IP 주소 체계는 IPv4, IPv6 방식이 있는데, IPv4는 IP 주소를 32비트로 표현하고 ‘.(온점)’으로 구분 하여 0.0.0.0 ~ 255.255.255.255까지 약 42억 개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인터넷에 연결 되는 단말기 수가 급격하게 늘어나는 상황에서 IPv4의 주소가 부족해지자 IPv6가 나타났다.
IPv6는 주소 길이가 128비트로 늘어나면서 수많은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아직까지 IPv4가 대중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므로 IPv4를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IPv4는 ‘.’을 기준으로 해서 클래스 단위로 구분되어 있다.
A 클래스는 첫 번째 단위의 클래스로 이미 예약된 0과 126을 제외한 1 ~ 127 범위에서 IP 주소를 갖게 되며, 나머지 클래스는 자유롭게 IP 할당이 가능하다. B 클래스는 두 번째 단위의 클래스로 첫 번째 단위는 128 ~ 192 사이에서 선택이 가능하며, 두 번째 단위는 B 클래스에서 접속하는 곳을 지 정할 수 있다. C 클래스는 세 번째 단위의 클래스로 첫 번째 단위는 192 ~ 223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다. 두 번째와 세 번째 단위는 C 클래스가 접속하는 곳을 지정할 수 있고, 마지막 네 번째 단위는 C 클래스에서 할당 가능한 IP로 254개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주소 체계에서도 RFC 5735에 의해 [표 2-7]과 같이 특수 목적으로 지정된 IP 주소가 있다.
공인 IP
IP 주소는 ICANN에서 IP 주소를 국가별로 할당해 주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국내에 할 당된 IP를 관리하고 있으며, 이렇게 관리되는 IP를 공인 IP라고 한다. 공인 IP는 아무나 마음대로 IP 를 지정하여 사용할 수 없으며, 할당받은 IP 주소를 통해서만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는 공인 IPv4의 IP 주소가 고갈되어 서버 호스팅 업체 및 ISP 업체에 돈을 주고 공인 IP를 할당받아 사용할 수 있다.
ICANN(The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ds and Numbers) :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
사설 IP
사설 IP는 사설 네트워크로 할당된 IP 주소 대역을 사용하는 것으로, 인터넷에 바로 연결되지 않고 회사나 가정과 같이 제한된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다.
IPv4에서 사설 IP는 사설 네트워크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규모를 고려하여 A, B, C 클래스 대역 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A, B 클래스는 대기업과 같은 큰 규모인 경우 적합하고 중소기업이나 가정에서는 C 클래스 대역의 사설 네트워크 IP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
Subnet과 Subnet Mask
서브넷(Subnet)은 할당받은 IP 대역을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눠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영역을 한정하는 과정으로, 이렇게 나누는 과정을 ‘서브넷팅(Subnetting)’이라고 한다. 이러한 서브넷팅 과정을 통해 네트워크를 체계적으로 나누어 관리할 수 있으며 브로드캐스팅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는 서브넷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IP와 논리 AND 연산을 통해서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어디까지 할 것인지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가끔 네트워크 대역을 지정할 때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를 이용하여 ‘192.168.1.0/24’ 와 같이 ‘/’ 기호를 붙여 네트워크 대역을 표현하는 방법도 있다. [표 2-10]은 CIDR을 이용하여 네 트워크 대역을 표기한 것으로, 주로 C 클래스 단위를 많이 사용한다.
참고문헌
정상근(맥스),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구축과 보안 관제』, 한빛미디어, 2016, 40쪽
'인프라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UDP (0) | 2020.02.14 |
---|---|
ARP / RARP (0) | 2020.02.14 |
TCP(3-Way Handshaking & 4-Way Handshaking) (0) | 2020.02.14 |
TCP/IP (0) | 2020.02.14 |
OSI 7 계층 (0) | 2020.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