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네트워크망은 규모와 거리에 따라 크게 LAN, MAN, WAN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더 세부적으로 는 10m 이내에 네트워크로 구성된 개인 통신망인 PANPersonal Area Network으로 IrDA, Bluetooth 등 의 무선 기술들이 있으며, 200m 내의 무선 네트워크인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이 있다.

< 네트워크망 규모별 구분 >

LAN

LAN(Local Area Network)은 작은 범위의 네트워크망으로, Ethernet, Token Ring, FDDI 형태로 구축할 수 있다.

< 주요 LAN 구성 방법 >

Star 구성은 중앙에서 Point-to-Point 방식으로 연결된다. 문제가 발생하면 해결하기 쉬운 구성 이지만, 구성 비용이 많이 들고 중앙에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연결된 모든 장치에 영향을 미친다.

Bus 구성은 하나의 회선에서 다수의 노드들에 메시지가 전파되고 수신지 노드가 자신의 메시지만 처리하는 방식이다. 구성 비용이 적게 들며 가장 많이 사용한다.

Ring 구성은 노드 간의 연결을 최소화하는 목적의 방식이다. 전송되는 데이터가 링을 통해 전달되므로 전송 지연 시간이 길어지고 하나 의 노드라도 장애가 생기면 전체 네트워크망이 영향을 받게 된다.

가장 많이 구축하는 형태는 Ethernet 형태로 동축 케이블, UTP 케이블을 전송 케이블로 이용하 여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Ethernet 장비의 겉면을 보면 매체 방식, 배선 방식, 지원 속도에 따라 [표 2-1]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

MAN

MAN(Metropolitan Area Network)은 LAN보다 크며 WAN보다 작은 중간 정도 범위의 네트워크망으로, 대학교나 한 도시 규모의 네트워크를 MAN이라고 부른다. 대표적으로는 케이블 인터넷을 예로 들 수 있다.

WAN

WAN(Wide Area Network)은 원거리 통신망이라고 하며 국가 단위와 같이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다. WAN은 [표 2-2]와 같은 연결 방식으로 구축할 수 있다.

 

참고문헌

정상근(맥스),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구축과 보안 관제』, 한빛미디어, 2016, 33쪽

728x90
반응형

'인프라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P / RARP  (0) 2020.02.14
IP  (0) 2020.02.14
TCP(3-Way Handshaking & 4-Way Handshaking)  (0) 2020.02.14
TCP/IP  (0) 2020.02.14
OSI 7 계층  (0) 2020.02.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