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보보호 108

[ISMS/ISMS-P] 1.1.3 조직 구성

관리체계 인증기준 1번째 영역인 '1.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 부터 살펴보자. 이번 영역에서는 총 16개의 세부 인증기준 중에서 '1.1. 관리체계 기반 마련' 분야에서 '1.1.3 조직 구성' 항목을 확인해보자. 이번 '1.1.3 조직 구성' 항목에서는 정보보호 위원회 / 협의체가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 해당 '1.1.3 조직 구성' 항목의 활동을 증빙하기 위한 증적자료 예시는 다음과 같다. 직무기술서 양식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위원회/실무협의체 정보보호 위원회/실무협의체는 아래의 글에서 참고하시길 바란다. https://dailylearn.tistory.com/131?category=1057354 [ISMS/ISMS-P] 1.1.1 경영진의 참여 관리체계 인증기준 1번째 영역인..

[ISMS/ISMS-P] 1.1.2 최고책임자의 지정

관리체계 인증기준 1번째 영역인 '1.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 부터 살펴보자. 이번 영역에서는 총 16개의 세부 인증기준 중에서 '1.1. 관리체계 기반 마련' 분야에서 '1.1.2 최고책임자의 지정' 항목을 확인해보자. 이번 항목에서는 임원급의 자격요건을 충족한 정보보호 최고책임자 및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공식적으로 임명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 해당 '1.1.2 최고책임자의 지정'의 활동을 증빙하기 위한 증적자료 예시는 다음과 같다. 정보보호 최고책임자 및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참고자료 그 외 증적 참고자료는 아래 페이지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https://dailylearn.tistory.com/131?category=1057354 [ISMS/ISMS-P] 1.1.1 경영진의 참여 관리체계 인증..

[ISMS/ISMS-P] 1.1.1 경영진의 참여

관리체계 인증기준 1번째 영역인 '1.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 부터 살펴보자. 이번 영역에서는 총 16개의 세부 인증기준을 다루게 된다. 우리는 그 중에서 '1.1. 관리체계 기반 마련' 분야에서 '1.1.1 경영진의 참여' 항목을 확인해보자. 위와 같은 인증기준과 확인사항을 확인해보면 이번 항목에서는 경영진이 적극적으로 기업의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활동에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고, 그에 맞는 절차가 수립 및 이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게 된다. 해당 '1.1.1 경영진의 참여'의 활동을 증빙하기 위한 증적자료 예시는 다음과 같다. 다음은 참고할 수 있는 증적자료 예시이다. 해당 자료들을 이용하여 인증심사 자료 준비에 도움이 됬으면 한다.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정책 및 지침 개인정보 내부관리..

[ISMS/ISMS-P]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소개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소개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기준은 크게 3개의 영역에서 총 102개의 인증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16개) 보호대책 요구사항(64개) 개인정보 처리 단계별 요구사항(22개)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을 받고자 하는 신청기관은 '1.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16개)', '2. 보호대책 요구사항(64개)' 2개 영역에서 80개의 인증기준을 적용받게 되며 정보보호 및 관리체계(ISMS-P) 인증을 받고자 하는 신청기관은 '3. 개인정보 처리 단계별 요구사항(22개)'를 포함하여 102개의 인증기준을 적용받게 된다.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기준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 '관리체계 수립 및..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2급 2020년 시험일정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2급? 디지털범죄 수사를 함에 있어 기술적으로 복원,분석 업무에 더하여 수사과정에서의 적법절차 및 피고인의 인권 보장 등 수사관(분석자)에게 요구되어지는 전문성은 필수적이다. 한 전문 분야의 전문성을 판단할 때 제도상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전문가 자격시험을 통해 전문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한국포렌식학회는 디지털 포렌식 분석자의 전문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디지털포렌식전문가 2급] 시험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2급 시험은 현장에서 디지털 증거의 무결성 및 원본성을 확보하면서 증거를 수집하는 데 필요한 전문성에 초점을 두어 주로 현장 증거수집자의 능력을 검증한다. 자격정보 및 일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