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박스 3

[Web Hacking] bWAPP(비박스) SQL Injection

※ SQL Injection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검증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 쿼리 일부분으로 포함될 때 발생하는 취약점이다. 쿼리문을 참을 만드는 SQL Injection을 시도하면 데이터가 출력되게 된다. ※ Union SQL Injection 2개 이상의 쿼리를 요청하여 결과를 얻는 UNION 이라는 SQL 연산자를 이용한 SQL Injection 공격을 말하며 이 연산자를 이용하여 원래의 요청에 한 개의 추가 쿼리를 삽입하여 정보를 얻어낸다. 단, union를 사용할 때에는 컬럼의 갯수가 같아야 하고 데이터 형식도 같아야 한다. Union select을 이용하여 DB명과 버전 등을 알아낼 수 있다. 관련 시스템 변수 및 함수는 아래와 같다. database() : DB명을 알려주는 함수 user()..

[Web Hacking] bWAPP(비박스) iframe, OS Command, PHP Code, SSI(Server Side Includes) Injection

※ iframe 인젝션 iframe은 HTML 문서 안에서 또 다른 HTML 문서를 보여주는 태그로 다른 프레임들과는 달리 어느 위치든 상관없이 사용 가능하다. 해당 문제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되고, 해당 내용은 robots.txt의 내용이다. 소스에서 페이지의 소스코드를 확인해보면 iframe태그에 의해 출력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렇게 출력되는 것을 보며 여기에는 HTML Injection이 가능할 것으로 추측된다. " height="250" width="250"> 해당 공격문을 url뒤에 추가해서 request해보도록 하자. 공격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공격 후의 소스코드를 확인해보면 iframe태그가 추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OS Command 인젝션 ..

[Web Hacking] bWAPP(비박스) HTML Injection

※ HTML 인젝션 - Reflected(GET) 취약한 매개변수에 악의적인 HTML 코드를 삽입하는 공격이다. HTML 태그를 악의적인 사이트에 연결하거나 악성 파일을 다운로드 하도록 유도한다. h태그를 입력해보면 태그가 해석되면서 입력값들이 출력되게 된다. 해당 요청을 URL의 파라미터로 전달할 때는 다음과 같다. 이제 자바스크립트의 alert함수를 이용해 XSS를 시도해보자. alert창이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공격을 이용하여 쿠키와 같은 정보를 탈취할 수 있고, 악의적인 페이지로 리다이렉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쿠키값을 가져올 수 있는지 테스트해보자. 만약 쿠키값이 공격자에게 넘어가게 된다면 공격자는 ID/PW없이 사용자로 로그인할 수 있다. 이번에는 img태그를 이용해보도록 하자. ..

반응형